바로가기 메뉴
로그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열린예배 열린강좌
나루인강좌
e강의실
이거모임
교수페이지
교수학습개발원
로그인
사이트맵
메뉴보기
열린예배 열린강좌
나루인강좌
e강의실
이거모임
교수페이지
교수학습개발원
교수페이지
이름
김철홍
연구실 번호
02-450-0825
E-Mail
kimchulhong@puts.ac.kr
교수 페이지
교수 블로그
교수 소개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B.A.)
장로회신학대학원 (M.Div.)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S. T. M. in Ecumenics)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 M. in New Testamen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Ph. D. in New Testament)
경력
2003-2006년 라성빌라델비아교회 (Los Angeles) 담임목사
1999-2016년 서울교회 협동목사
국민대통합위원회 2016-17년 화해와 상생 포럼 위원(이념분과)
2015-16년 미래한국 편집위원
현 숭실고등학교 임시이사
현 이런교육감선출본부 집행위원
현 자유애국모임 집행위원
현 월드뷰 편집위원
현 팬앤마이크(정규재 TV) 객원 칼럼니스트
현 공익인권민주연대 대표
현 우리교육감추대시민연합 공동대표
신학적 관심사 및 연구분야
바울의 복음전도와 선교, 교회개척, 바울과 유대교와의 관계, 고대 유대교의 회당제도, 초대교회의 선교, 바울의 자기이해, 이사야서 예레미야서와 바울신학, 신명기서와 바울신학, 신약성서 배경사 전반, 갈라디아서, 데살로니가전서, 고린도후서, 베드로전서, 야고보서 등.
학교경력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octor of Ministry Program Coordinator,
Fuller Theological Seminary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gram Assistant Director,
학회
한국신약학회 회원 (2007-)
Society of Biblical Studies 회원 (2008-)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회장(2015-2016)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등재지 『신약연구』편집위원장(2016-)
박사 학위 논문
“Paul-A False Prophet?: False Prophet Accusations Against Paul,” Ph. D. diss.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7).
발표 논문
김철홍, “헬라 세계에서 바울의 선교 활동과 그의 청중들의 개종,”『복음과 선교: 이광순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서울: 미션아카데미, 2006. 43-110.
김철홍, "바울의 동역자, 실루아노: 초대교회의 선교에서 그의 공헌,"『선교 와 신학』19 (2007년), 221-62.
김철홍, "성경에 나타난 교회 행정,"『교육교회』(2007년 11월호), 20-26.
김철홍, “마태복음 13:33의 누룩 비유의 해석과 목회적 적용,”『교회와 신 학』71 (2007년 겨울호), 87-97.
김철홍, "참 선지자와 참 사도의 표지인 신적 현현의 경험,"『성서학연구원 저널』 (장로회신학대학교 성서학연구원; 2007년 4권), 46-77.
김철홍, "최근 바울서신 연구동향," 『성서마당』84 (2007년 겨울호), 67-76.
김철홍, "바울은 제정신이 아니다?(고후 11:23): 바울의 영적 근원에 대한 논쟁,"『장신논단』32 (2008년), 11-43.
김철홍, "현대 바울신학 연구동향: 바울신학의 새 관점을 중심으로," 『성서 마당』86 (2008년 여름), 75-82.
Chulhong Kim, "The Nature of the False Teaching of Colossae: Paul's Response and Its Modern Parallel,"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2008, vol. 8), 47-64.
김철홍, "시민사회의 권력에 대한 바울의 태도: 바울복음에 대한 정치적 해 석에 대한 비판,"『소망신학포럼』(2008년 10월), 11-42.
김철홍, “성서에서 본 정신건강,” 『교회와 신학』75 (2008년 겨울호), 12-16.
김철홍, "바울이 아라비아로 간 까닭은?: 갈 1:17에 나타난 바울의 선지자적 자의식,"『신약논단』(2009년 봄), 173-98.
Chulhong Kim, "Paul's Response to the Colossian Problem: A Lexical Study of Colossians 1:15-20,"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2009, vol. 9), 7-22.
김철홍, “신약신학과 성령”, 『성령과 기독교신학』 황승룡 편,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2010년.
김철홍 외 2명,『사도행전: 학습자용』,『사도행전: 인도자용』, 서울: 장로 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0년.
Chulhong Kim, “Is Paul a Mystic?: A Study on Paul’s Knowledge of Jewish Mysticism,”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10, 2010. 35-64.
김철홍, “바울신학과 영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보고서: 교육과 영화의 만남』(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2011년 7호). 7-44.
김철홍 외 2명,『데살로니가전.데살로니가후서: 학습자용』,『데살로니가전. 데살로니가후서: 인도자용』,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1년.
Chulhong Kim, “Some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Paul’s Earliest Teachings in First Thessalonians,”『선교와 신학』(2011년 27집), 379-403.
김철홍, “성서적신학의 주제로서 속죄,”『성서적 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 약신학의 주요주제』, 장흥길 편,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12년. 205-240.
김철홍 외 2명,『고린도후서: 학습자용』,『고린도후서 :인도자용』,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2년.
김철홍, “우리가 성탄절을 축하하는 까닭은?”『교육교회』(2012년 12월호), 14-20.
김철홍, 하경택, “구약성서와 유대교의 메시아 이해와 신약성서의 기독론,”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논문: 학제적 수업 설계 및 실행』(장로회신 학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2013년 9호). 47-113.
김철홍, “바울신학의 새 관점 비판: 바울복음의 기원, 칭의론과 최후의 심판론을 중심으로,”『신약연구』12(2013), 838-74.
김철홍, “1세기 유대교 인간론의 악한 성향과 바울의 인간론,”『신약연구』13(2014), 745-82.
김철홍, “바울의 소명의식과 복음 선포에 나타난 그의 전도, 개종, 교회 개척의 특징,”『신약연구』14(2015), 206-43
김철홍, "고린도후서 11:23-12:10의 네 가지 주제와 바울의 거짓사도 논쟁” 『신약연구』 15(2016), 131-53.
김철홍, "2000년 동안 교회가 반복한 일: 복음을 윤리로 끌어내리는 일" 『월드뷰』 10(2017), 16-19
김철홍, 전희경, 김진 지음, 『교과서를 배회하는 마르크스의 유령들: 보수아이콘 세 지성의 ‘역사 전쟁’ 긴급 발언』 (기파랑, 2015년)
김철홍, 『참사도 참복음: 설교를 위한 고린도후서 연구』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16)
내용 더보기
교수 블로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종교개혁과 한국의 정치개혁.pdf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강연 원고입니다.
Comment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김철홍
2019-11-15
바울에 관한 논문들
김철홍
2019-11-15
팬앤마이크 칼럼
김철홍
2019-11-14
성경에서 가난과 부에 대한 개념에 관한 논문
김철홍
2019-11-14
논찬, 토론문
김철홍
2019-11-14